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크레딧 코인의 신용거래 기술, 어떻게 작동할까?

by ETC_98 2025. 3. 28.

크레딧코인과 관련된 이미지
크레딧코인과 관련된 이미지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의 미래를 바꿔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은 실생활과 연결되지 못한 채, 이론적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크레딧 코인(Creditcoin)**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거래 기록이라는 실질적 문제 해결에 도전하는 몇 안 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크레딧 코인의 신용거래 기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구조와 과정, 실사용 예까지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크레딧 코인의 목표: ‘신용 없는 사람에게 신용을 만든다’

세계에는 수십억 명의 사람이 금융 인프라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은행 계좌가 없고, 신용카드도 없으며, 대출을 받을 수도 없습니다. 이들은 ‘신용 이력’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제도권 금융에서 배제되어 왔습니다.

크레딧 코인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핵심 철학은 단 하나,

“누구나 신용을 쌓고, 금융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크레딧 코인은 블록체인에 신용 거래 이력을 기록하는 기술을 도입했고, 이로 인해 기존 은행 시스템이 없어도 신용 평가와 금융 접근이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크레딧 코인의 기술적 미션은 매우 명확합니다:

  • 개인 간 혹은 기관 간 대출 거래를 탈중앙화된 형태로 기록
  • 이 기록을 변조할 수 없는 퍼블릭 블록체인에 저장
  • 데이터 기반의 신용 점수대출 성실 이력 구축
  •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후 더 나은 조건의 금융상품 이용 가능

즉, 한 번의 대출이 단순히 돈을 빌리는 행위가 아닌, 신용 자산이 되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크레딧 코인의 신용거래 구조는 어떻게 작동하나?

크레딧 코인의 신용거래 구조는 크게 5단계로 나누어집니다.
한 번 대출이 이루어질 때마다, 이 과정이 스마트컨트랙트 상에서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1. 대출 계약 체결 (Loan Agreement)

  • P2P 대출 플랫폼 또는 파트너 핀테크에서 대출 신청 및 승인
  • 차용자와 대출자가 합의한 조건(금액, 이자율, 상환 기간 등)을 바탕으로 계약 생성

2. 블록체인 기록 요청 (Transaction Broadcast)

  • 위 계약 내용을 토큰화하여 Creditcoin Chain 상에 트랜잭션으로 전송
  • 여기서 사용되는 토큰은 CTC (크레딧코인)이며, 수수료 지불에 사용됨

3. 스마트컨트랙트 검증 및 기록 (Validation & Write)

  • Creditcoin 블록체인 노드가 해당 계약 정보를 검증
  • 거래 승인 후 불변성 있는 블록체인 상의 신용기록으로 등록됨

4. 실제 대출 실행 및 상환 추적 (Loan Lifecycle)

  • 대출이 실행되면, 차용자는 기간 내 상환을 진행
  • 상환 진행 상황 역시 Creditcoin에 기록됨

5. 신용점수화 및 데이터 분석 (Credit Scoring)

  • 누적된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신용 점수 및 리스크 분석 가능
  • 제3자 금융기관이 이 데이터를 이용해 맞춤형 금융상품 제공 가능

📌 참고로 이 모든 과정은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자동화되어 있고, 블록체인 상에서 투명하게 공개되므로 조작이 불가능합니다.


크레딧 코인의 생태계 구조와 참여자 역할

이 신용 거래 구조를 가능하게 만드는 건 단지 기술만이 아닙니다. 생태계 참여자들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어야만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작동합니다.

🧩 1. 차용자 (Borrower)

  • 크레딧 코인 기반 대출 플랫폼에서 대출을 신청하고 상환하는 개인
  • 신용이력이 없던 사람도, 이번 거래를 시작으로 신용 이력의 첫 페이지를 작성하게 됨

🧩 2. 대출자 (Lender)

  • 개인 혹은 기업이 될 수 있으며, 수익을 목적으로 대출 참여
  • 이자 수익 외에도 온체인 신용 이력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대출기록 확보 가능

🧩 3. 검증자 (Validator)

  • Creditcoin Chain의 블록 생성 및 거래 검증 참여
  • CTC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보상으로 CTC 획득

🧩 4. 플랫폼 파트너 (Fintech)

  • Gluwa, Aella Credit 등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며 신용거래 촉진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Know Your Customer(KYC), 법적 준수 등 관리

🧩 5. 개발자 및 커뮤니티

  • 오픈소스 기반 생태계 내에서 Dapp 개발 및 커뮤니티 기반 DAO 운영
  • 실시간 피드백을 바탕으로 생태계 개선에 기여

이처럼 크레딧 코인의 구조는 단순히 기술 하나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참여자들이 균형을 맞추며 돌아가는 탈중앙화된 금융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사용 예시: 아프리카에서의 적용 사례

크레딧 코인의 신용거래 시스템은 이미 아프리카에서 실제 대출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는 나이지리아입니다.

  • Gluwa가 운영하는 모바일 앱에서 현지 사용자들이 대출을 신청
  • 대출자와 차용자 간 조건이 맞춰지면 스마트컨트랙트 체결
  • 대출 실행 후 상환 현황이 Creditcoin Chain에 자동 기록
  • 사용자에겐 온체인 신용기록이 남고, 다음 대출 시 더 낮은 이자율 적용

이 과정이 반복되면, 기존에는 신용이 0이었던 사람도 신뢰 기반 자산을 축적하게 됩니다.
이는 현지 경제 활성화, 금융 포용성 증대 등 실질적인 사회적 효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결론:
크레딧 코인의 신용거래 기술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제 작동하는 시스템입니다. 블록체인을 이용해 신용 이력을 구축한다는 개념은 향후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입니다. 특히 금융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에서 신뢰 기반의 경제 활동을 가능하게 만드는 인프라로 작용하는 만큼, 크레딧 코인은 그 가치와 실용성을 모두 갖춘 미래형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용이 곧 자산이 되는 시대, 그 중심에 Creditcoin이 자리할 가능성은 매우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