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니어프로토콜 2025 기술 및 전망 (나이트쉐이드, BOS, 인터체인 확장)

by ETC_98 2025. 3. 31.

니어프로토콜과 관련된 이미지
니어프로토콜과 관련된 이미지

 

니어프로토콜(NEAR Protocol)은 2025년, 레이어1 블록체인 시장의 ‘사용성 혁신’을 이끄는 프로젝트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기술적 발전과 함께, '나이트쉐이드(Nightshade)' 체인 분할 기술BOS(Blockchain Operating System),
그리고 FastAuth, Keypom 등 독자적 UX 설계를 통해, NEAR는 개발자뿐 아니라 일반 Web2 사용자까지 흡수하는 Web3 진입 허브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NEAR의 구조, 기술 혁신, 멀티체인 통합 전략, 글로벌 생태계 확장, 투자 시사점을 총체적으로 분석합니다.


✅ 1. NEAR의 확장 기술: 나이트쉐이드(Nightshade)

▶ 나이트쉐이드란?

  • 블록체인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샤딩 기반 아키텍처
  • NEAR는 **'동적 샤딩(Dynamic Sharding)'**을 통해 상태를 여러 체인(샤드)으로 분산
  • 각 샤드는 병렬 처리되며 전체 네트워크는 하나의 블록체인처럼 작동
특성내용
TPS 이론상 100,000 이상 가능
레이턴시 약 1초 내 확정성
처리 구조 트랜잭션 자동 분산
개발자 영향 체인 구조 신경 쓸 필요 없음 (추상화 제공)

▶ 2025년 기술적 업그레이드

  • 샤드 수 자동 조절: 트래픽에 따라 실시간 증가/감소
  • 스테이트 복구 최적화: 노드 탈락 시 빠른 데이터 동기화
  • ZK 기술 연계 실험 중: 레이어 간 트러스트리스 검증 가능성 확대

✅ 2. BOS: 블록체인의 운영체제란 무엇인가?

▶ BOS 개요

  • BOS는 NEAR가 구축한 Web3 운영 환경 플랫폼입니다.
  • 프론트엔드 위젯, 계정 시스템, 로그인, 스토리지, API 호출 등
    블록체인 앱의 모든 구성을 쉽게 만들고 연결할 수 있게 설계

▶ 주요 기능

구성 요소설명
FastAuth 이메일 기반 Web2 로그인 지원
Keypom 링크 기반 토큰 배포 및 앱 진입 설계
Component React 유사 구조의 모듈화 앱
Gateway Web2 웹사이트에 BOS 위젯 삽입 가능
Multichain ETH, Polygon, Solana 등과 API 연동 구조 내장

▶ BOS = Web3의 안드로이드?

BOS는 앱을 배포하고 실행하는 **'운영체제 레이어'**입니다.
→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터가 모두 쉽게 Web3 앱을 배포 가능
→ Web2 앱처럼 구동되지만, 온체인 인프라와 자동 연결


▶ 기업형 응용 사례 (2025년 기준)

프로젝트특징
KaiKai (동남아) 커머스 Web3 진입 + NFT 기반 할인 쿠폰
Cheddar Protocol GameFi 플랫폼 + BOS 기반 온보딩
NEAR Digital ID 탈중앙 신원 서비스 연계 실험

BOS는 스타트업뿐 아니라, Web2 SaaS 구조에도 진입 가능


✅ 3. 사용자 친화 기술: FastAuth & Keypom

▶ FastAuth

  • 이메일 인증 기반 지갑 생성 시스템
  • Google OAuth, Twitter 연동, 2FA 지원
  • 온체인 지갑 생성 과정을 '비가시화' → 사용자 UX 혁명

▶ Keypom

  • 링크 기반 기능 실행 도구
  • 토큰 지급, NFT 수령, dApp 초대 등을
    하이퍼링크 한 줄로 처리 가능
  • 마케팅, 커뮤니티 캠페인에서 활용도 급상승

→ BOS + FastAuth + Keypom 조합은 Web2 유저가 Web3를 사용하게 만드는 핵심 삼각축


✅ 4. NEAR의 멀티체인 전략과 인터체인 UX

▶ Aurora: 이더리움 연동 솔루션

  • NEAR 기반의 EVM 호환 레이어
  • 이더리움 개발자들이 거의 수정 없이 dApp 이전 가능
  • Gas 수수료는 NEAR 또는 ETH 중 선택 가능

▶ NEARDA: 디앱 데이터 연동 플랫폼

  • 오프체인 데이터(API, 로그, 유저 행동) + 온체인 상태 연결
  • Firebase 대체 가능 구조
  • DePIN, AI 연동, 사용자 행동 분석 기반 추천 시스템 구축 가능

▶ Ethereum & EigenLayer 연계

  • NEAR는 EigenLayer와 2025년 보안 레이어 실험 진행
  • ETH 리스테이킹 자산 일부를 NEAR 앱 보안에 공유
  • 인터체인 보안 → L1 간 협력 생태계 신호

✅ 5. 글로벌 생태계 확장 전략

▶ 재단 전략 전환

  • 2023년까지: 개발자 커뮤니티 중심 운영
  • 2024~2025년: 사용자 온보딩 → 스타트업 파트너 지원 구조
  • Near Foundation은 OSS 지원 + 앱 성장 마케팅에 집중

▶ 지역 중심 프로그램

지역프로그램
한국 BOS 해커톤, Klaytn 연동 실험, 토큰 배포 캠페인
동남아 리테일 커머스 중심 앱 확산
중동 Web3 Digital ID, 교육 관련 dApp 개발
유럽 프라이버시 지갑, 금융용 NFT 실험

✅ 6. NEAR 토큰 이코노미 및 투자 시사점

▶ 토큰 유틸리티

기능활용 방식
트랜잭션 가스 NEAR 기반 앱 실행 수수료
스테이킹 밸리데이터 보상
BOS 인프라 앱 퍼블리싱, 컴포넌트 배포
스토리지 IPFS와 유사한 위젯 저장소 사용료
거버넌스 DAO 투표 및 커뮤니티 제안

▶ 2025년 투자 전략 포인트

항목분석
기술성 샤딩 기술 최상위, UX 혁신성 독보적
경쟁력 이더리움이나 ZK 체인과의 차별성 명확
리스크 브랜드 약점, 글로벌 거래소 노출 제한
활용성 BOS로 dApp 직접 출시 가능 → 토큰 수요 강화
기관 관심 UX + ID + 데이터 구조 → Web2 기업 관심 상승

[결론: NEAR는 Web3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OS이다]

NEAR 프로토콜은 단지 더 빠른 체인이 아니라,
**Web3를 생활 속으로 데려오는 '운영체제'이자 '포털'**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나이트쉐이드로 확장성 확보
  • BOS로 사용성 확보
  • FastAuth로 UX 벽 해소
  • Keypom으로 진입장벽 제거
  • Multichain 연동으로 글로벌 사용성 확보

2025년 이후 Web3의 주요 키워드는
**접근성(Accessibility), 통합성(Interoperability), 유연성(UX)**이 될 것입니다.
NEAR는 이 모든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가장 사용 친화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