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써클 × 블랙록 × USDC 분석(RWA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와 금융 인프라 전망)

by ETC_98 2025. 3. 27.

써클 × 블랙록 × USDC와 관련된 이미지
써클 × 블랙록 × USDC와 관련된 이미지

 

2025년 현재,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의 경계는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USDC(USD Coin)**이라는 대표 스테이블코인과 이를 발행하는 써클(Circle), 그리고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있습니다. 이 세 주체는 단순한 협업을 넘어, 실물자산 기반의 **RWA(Real World Asset)**를 블록체인에 융합시켜 글로벌 금융 생태계의 근간을 바꾸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USDC의 멀티체인 유통 구조, 써클의 발행 전략, 블랙록의 자산 운용 및 BUIDL 펀드와의 관계,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온체인 금융 인프라의 진화 방향을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1. USDC란 무엇인가? (스테이블코인 구조 및 발행 방식)

1-1. 기본 개요

  • 이름: USDC (USD Coin)
  • 유형: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 페깅: 1 USDC = 1 미국 달러
  • 발행사: Circle Internet Financial
  • 파트너: Coinbase (창립 파트너), BlackRock (운용 파트너)
  • 준비금 운용: 미국 국채 + 머니마켓펀드 + 일부 현금 보유

1-2. 특징

  • 규제 준수형 스테이블코인 (미국 FinCEN 등록)
  • 월 단위 외부 감사 보고서 공개
  • 멀티체인 발행: Ethereum, Solana, Base, Arbitrum, Avalanche 등 18개 이상
  • CCTP(Cross-Chain Transfer Protocol): 체인 간 전송을 소각-재발행 구조로 처리
  • 기관 투자자 친화 설계: KYC/AML API 연동 가능

2. 써클(Circle)의 역할: USDC 발행과 금융 허브의 중심

2-1. Circle 개요

  • 설립 연도: 2013년
  • 본사: 미국 보스턴
  • 라이선스: FinCEN 등록, Money Transmitter 라이선스 다수 보유
  • 핵심 서비스:
    • USDC 발행 및 유통 관리
    • Circle API → 결제, 송금, 기업 연동
    • Treasury Reserve 관리 → BlackRock과 연계

2-2. Circle의 비전

  • “디지털 달러의 중앙 허브”
  • 법정화폐와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온체인 금융 네트워크 구축
  • B2B 대상 DeFi 접근성 확대, 전통 금융과 Web3를 연결
  • RWA 생태계 연동 → 기업, 국가, 기관 대상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 확대

3. 블랙록(BlackRock)의 역할: 준비금 운용과 BUIDL 펀드

3-1. BlackRock이란?

  •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AUM(운용자산) 약 10조 달러 이상
  • 디지털 자산 전략 적극 도입 중 (Bitcoin ETF 승인, RWA 확대 등)
  • 2023년 이후 Circle의 USDC 준비금 운용 파트너로 참여

3-2. BUIDL 펀드란?

항목내용
이름 BUIDL: BlackRock USD Institutional Digital Liquidity Fund
운용 자산 미국 단기 국채, 머니마켓펀드
기반 네트워크 Ethereum 메인넷
특징  
  • Securitize 등록
  • 투자자는 USDC로 참여 가능
  • 매일 이자 분배 (on-chain)
    | 용도 | USDC 준비금 예치처 / Circle 및 기관 투자자 참여 유도

3-3. BUIDL과 USDC의 연결 구조

  • Circle은 USDC 준비금 일부를 BlackRock의 BUIDL 펀드에 예치
  • 펀드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
  • 이 수익은 Circle 운영 및 생태계 확대에 사용
  • Circle은 해당 구조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안정성 확보 + 수익성 확보 모두 달성

4. USDC, Circle, BlackRock의 상관관계 분석 (RWA 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4-1. 상호 연계 구조 요약

css
복사편집
[사용자] ↳ USDC 구매/사용 ↳ [Circle] ↳ 준비금 일부 → [BlackRock BUIDL] ↳ MMF 운용 → 수익 발생 ↳ Circle은 월간 리포트로 준비금 투명성 공개

4-2. 주요 상관관계 포인트

요소설명
신뢰성 확보 BlackRock이 준비금을 운용 → 기관급 신뢰성 획득
수익성 강화 국채 운용 → 수익 발생 → Circle 재투자
투명성 향상 온체인 구조 + 펀드 운용 내역 공개
규제 친화성 Securitize 등록, SEC 관할 → 규제 대응 강화
RWA 연동 실물자산을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으로 활용하는 구조 완성

5. USDC 생태계의 확장성과 미래 전망

5-1. 멀티체인 생태계 확대

체인 수특징
18개 이상 Ethereum, Solana, Base, Arbitrum, Polygon, Stellar 등
통합 방식 CCTP 기반 소각-재발행 → 브릿지 리스크 최소화
효과 디파이, NFT, 게임, 결제 모든 섹터에서 활용 가능

5-2. DeFi, RWA, TradFi 접점으로 진화

  • DeFi: Aave, MakerDAO, Curve, Uniswap에서 핵심 유동성
  • RWA: Ondo, Centrifuge, Backed 등 RWA 담보 대출 시스템과 통합
  • TradFi: 블랙록 펀드 기반 투자 수단, 송금 시스템 API로 기업 연계

5-3. 향후 확장 가능성

  • USDC 기반 CBDC 테스트 가능
  • 국가 단위 디지털 결제 시스템 연동
  • 실물자산 증권형 토큰(STO) 담보 수단으로 확장
  • Web2 기업의 온체인 결제 수단으로 채택 가능성 상승

결론: 써클 × 블랙록 × USDC는 ‘온체인 디지털 달러 생태계’의 완성형 모델

이 세 주체의 조합은 단순한 협력 관계를 넘어
규제, 기술, 금융 운용, 유동성이라는 4대 요소를 모두 통합한 차세대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완성하고 있습니다.

  • Circle: USDC 발행, 유통, 투명성 제공
  • BlackRock: 준비금 운용, RWA 자산 기반 수익 창출
  • USDC: 멀티체인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달러이자 실물 기반 유동성 자산

2025년 이후의 블록체인은 단순히 “코인을 발행하는 네트워크”가 아니라,
실물 금융과 연결된 신뢰 가능한 인프라로 발전해야 하며,
USDC 생태계는 그 흐름의 선두 주자로서 시장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