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는 웹3 생태계에서 사용자 정체성을 표현하고, 지갑 주소, 웹사이트, SNS 계정 등 다양한 디지털 요소를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ENS는 단순한 도메인 서비스가 아니라, 정교하게 설계된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ENS가 어떤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 상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상세하게 설명하고, 2025년 기준 최신 기술 발전 방향까지 분석합니다.
ENS 개요: 블록체인에서 ‘이름’이 필요한 이유
이더리움 주소는 기본적으로 0x로 시작하는 42자리의 영문·숫자 조합입니다.
예: 0x9e1d4ef2b534b5c...
이 주소는 사람에게 읽기 어렵고, 복사·붙여넣기 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 시스템이 블록체인에도 필요하게 되었고, 그 해결책이 바로 ENS입니다.
ENS는 기존 DNS(Domain Name System)와 유사하지만, 작동 방식은 전혀 다릅니다.
ENS는 중앙 서버나 등록기관 없이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로 직접 관리되며, 누구나 자신만의 .eth 이름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ENS의 핵심 구성 요소: 3가지 스마트컨트랙트 구조
ENS는 크게 세 가지의 스마트컨트랙트를 중심으로 동작합니다.
이 컨트랙트들이 서로 연결되어 도메인 등록, 소유권 이전, 정보 해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1. ENS Registry (레지스트리 컨트랙트)
- ENS 시스템의 루트 컨트랙트
- 모든 도메인 이름을 관리하고, 해당 도메인의 소유자(owner), 관리자, 해석기(resolver) 주소를 저장
- 도메인의 TTL(Time to Live) 정보도 포함되어 있음
기능 요약:
- 이름 등록 및 소유자 기록
- 하위 도메인 생성
- 레코드 변경 가능 여부 판단
📌 예시: vitalik.eth의 소유자는 누구인가? → Registry에서 조회
2. Resolver (해석기 컨트랙트)
- 실제 ENS 도메인에 연결된 정보를 저장하고 반환하는 컨트랙트
- 예: ENS 도메인이 어떤 이더리움 주소로 연결되어 있는지, IPFS 해시, 트위터 링크 등
기능 요약:
- addr() 함수: 지갑 주소 반환
- text() 함수: 텍스트 데이터 반환 (ex. 이메일, 트위터 ID 등)
- contenthash(): IPFS 주소 연결
📌 예시: alice.eth → 어떤 이더리움 주소? → Resolver 컨트랙트에서 addr() 호출
3. Registrar (등록기 컨트랙트)
- 새로운 ENS 도메인을 등록하고 경매, 가격 설정 등을 관리하는 컨트랙트
- 특히 .eth 도메인의 경우 ‘ETH Registrar Controller’라는 컨트랙트가 이를 담당
기능 요약:
- 도메인 등록 요청 처리
- 등록 기간 설정 및 갱신
- 가격 계산, 수수료 부과
📌 예시: 사용자가 mywallet.eth를 등록할 때 Registrar에서 가격 계산 및 유효성 검사 진행
ENS 등록 흐름: 스마트컨트랙트 동작 과정
ENS를 등록하고 사용하는 기본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가 ENS 등록 시도
→ Registrar 컨트랙트에 register() 호출
2. Registrar에서 도메인 등록 가능 여부 확인
→ 이미 등록된 이름인지 확인
3. ENS Registry에 소유자 정보 등록
→ setOwner() 함수 호출로 소유자와 Resolver 주소 기록
4. Resolver 컨트랙트에 연결 정보 입력
→ 지갑 주소, 이메일, IPFS 링크 등 입력 (setAddr(), setText() 등)
5. 사용자는 ENS 이름을 지갑, 웹사이트 등에서 사용
→ ex. vitalik.eth로 송금 가능
📌 이 모든 과정은 사용자의 트랜잭션 서명과 함께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에서 자동 실행됩니다.
ENS DAO와 스마트컨트랙트 업그레이드 구조
ENS는 2021년부터 ENS DAO를 통해 관리되고 있으며, 이 DAO는 $ENS 토큰 보유자의 투표로 운영됩니다.
ENS DAO에서 결정하는 스마트컨트랙트 항목:
- 도메인 가격 정책 (예: 짧은 이름 가격)
- 수익의 사용처 (예: ENS Labs 자금 지원)
- 새로운 기능 도입 여부 (예: L2 확장 지원)
- Resolver 표준 변경
스마트컨트랙트 업그레이드 방식
- ENS 컨트랙트는 프록시(proxy)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
- 대신 새 컨트랙트 배포 → Registry 포인터 변경 방식으로 진행
- 이는 안전성을 높이고, DAO 투표 기반으로 업그레이드 절차를 엄격하게 관리함
ENS의 확장 기능과 스마트컨트랙트 적용 예
1. 서브도메인 발급 자동화
- DAO 또는 NFT 프로젝트가 *.project.eth 형태로 하위 도메인을 자동 생성
- 스마트컨트랙트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의 지갑에 자동 발급
2. ENS 기반 인증 시스템
- ENS 주소 소유자 인증을 통해
→ DAO 투표 권한 부여
→ Discord 인증
→ NFT 민팅 조건 설정
3. ENS + NFT 통합
- ENS를 특정 NFT 보유자에게 연결
- ENS 이름 자체를 NFT화하여 스마트컨트랙트에서 토큰으로 인식 가능
ENS와 스마트컨트랙트의 미래: 2025년 이후 전망
✅ Web3 서비스의 표준 인터페이스로 자리잡는 ENS
ENS는 2025년 현재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DAO | 멤버 인증, 투표 주소, 거버넌스 포털 주소 |
NFT | 작가 도메인, NFT 민팅 주소, 작품 인증 |
DID | 탈중앙화 ID와 ENS 연동으로 인증/로그인 |
게임 | 게임 내 유저 ID, 아이템 거래 주소 |
지갑 | 메타마스크 등에서 ENS 기본 지원 |
✅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자동화 기능 증가
- 조건부 ENS 등록 (예: NFT 보유자만 등록 가능)
- ENS 이름 만료 자동 알림 및 연장
- ENS 주소 연동 디지털 자산 자동 이동 (ex. 수익 분배)
결론: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는 단순한 이름 서비스가 아닙니다.
정교한 스마트컨트랙트 구조 위에 구축된, 웹3의 인프라 플랫폼입니다.
ENS는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면서도
완전한 탈중앙화와 보안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5년 현재 수백만 사용자의 디지털 정체성을 지탱하는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ENS는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의 진화와 함께,
Web3 생태계의 이름, 신원, 연결을 책임지는 핵심 기술로 성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