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에서 가능한 비트코인 간접 투자 상품

by ETC_98 2025. 4. 5.

비트코인 간접 투자 상품과 관련된 이미지
비트코인 간접 투자 상품과 관련된 이미지

 

2024년 1월 역사적으로 비트코인 ETF가 승인되고, 미국 대형 기관의 암호화폐 상품 출시와 함께 국내 투자자들의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금융당국은 아직 비트코인을 **‘금융투자 상품’이 아닌 ‘특정금융정보법 대상 가상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어, 제도권 내에서 직접 투자하기엔 여러 가지 제약이 따릅니다. 이에 따라 개인과 기관 모두 ETF, 채굴주, 블록체인 ETF, 연금계좌, 관련주 등 다양한 간접 투자 수단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비트코인 간접 투자 수단 5가지를 정리하고, 각 방법의 장단점, 접근 경로, 수익 기대치까지 함께 분석합니다.


1. 미국 상장 비트코인 현물 ETF 직접 투자 (IBIT, FBTC 등)

2024년 미국 SEC가 승인한 비트코인 현물 ETF 상품들이 현재 나스닥 및 CBOE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 IBIT (iShares Bitcoin Trust) – 운용사: BlackRock
  • FBTC (Fidelity Wise Origin Bitcoin Fund) – 운용사: Fidelity
  • ARKB (ARK 21Shares Bitcoin ETF) – 운용사: Ark Invest + 21Shares
  • BITB, BRRR, BTCO 등 기타 신생 운용사 ETF

이들 ETF는 실제 비트코인을 1:1로 보유하며 운용되기 때문에, 가격 추종성 및 실물 연동성이 뛰어납니다.
한국 투자자는 해외주식 계좌를 통해 미국 시장에 상장된 ETF를 직접 매수할 수 있으며, 2025년 2월 기준으로 국내 5대 증권사의 ETF 일평균 거래량은 IBIT: 7.3억 원, FBTC: 5.9억 원 수준입니다.

✅ 장점

  • 직접 비트코인을 보관하거나 개인지갑을 만들 필요 없음
  • 블랙록·피델리티 등 글로벌 기관이 운용 → 신뢰도 높음
  • IRP, ISA와 연계하면 절세 효과까지 가능

⚠️ 단점

  • 환율 변동 리스크 존재 (달러로 매입, 원화 평가 시 손익 영향)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22% 별도 신고 필요
  • 시장과 1:1 추종은 하되, 거래량 적은 ETF는 스프레드 주의

✅ ETF 접근법: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등의 해외주식 거래 앱에서 미국 ETF 종목으로 직접 검색 후 매수 가능. IRP 계좌 내 ETF 편입 여부는 증권사마다 상이.


2. 비트코인 채굴기업 주식 투자 (Riot, Marathon 등)

비트코인 간접 투자 수단 중 가장 높은 수익성과 리스크를 동시에 갖는 전략이 바로 채굴기업 주식 투자입니다. 채굴기업은 비트코인을 채굴해 판매 또는 보유하며 수익을 얻기 때문에, BTC 가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대표 종목:

종목명주요 포인트거래소
Riot Platforms (RIOT) 자가 수력 기반, ESG 친화적, 블랙록 ETF 편입 NASDAQ
Marathon Digital Holdings (MARA) BTC 보유량 최대, 해시리스 모델 도입 NASDAQ
TeraWulf (WULF) 원자력 기반, ESG ETF 포함 NASDAQ
Cipher Mining (CIFR) Hashrate ETF 기술 파트너 NASDAQ
Bitdeer Technologies (BTDR) 글로벌 호스팅형 모델, 싱가포르 기반 NASDAQ

✅ 장점

  • 비트코인 가격 상승 시 주가 레버리지 효과 발생
  • 채굴마진 개선 → EPS 상승 → 투자자 수익 구조 유리
  • 기관 투자자 유입 확대 → 주가 안정성 개선

⚠️ 단점

  • 비트코인 가격 하락 시 주가 급락 가능성 높음
  • 해시레이트, 전력계약, ESG 요소 등 기업 분석 난이도 높음

✅ 접근법: 국내 증권사 해외주식 계좌 개설 후 미국 나스닥 상장 채굴주 매수 가능. 고위험 고수익 전략으로 분류되므로 비중 조절이 핵심입니다.


3. 블록체인 ETF 및 산업 테마 펀드 (BLOK, BITQ, KOIN 등)

비트코인과 직접 연동되지는 않지만, 블록체인 인프라에 투자하는 글로벌 ETF 상품도 비트코인 상승 사이클에 영향을 받는 종목으로 분류됩니다.
이들 ETF는 블록체인 기술, 암호화폐 인프라, 지갑 솔루션, 거래소 운영사 등에 분산 투자합니다.

대표 ETF:

  • BLOK: Amplify Transformational Data Sharing ETF
  • BITQ: Bitwise Crypto Industry Innovators ETF
  • KOIN: Innovation Shares NextGen Protocol ETF
  • DAPP: VanEck Digital Transformation ETF

투자 종목에는 Coinbase, Robinhood, Galaxy Digital, Riot, Marathon, Nvidia, IBM, Paypal 등 기술 기반 기업 + 채굴주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 장점

  • 분산 투자로 변동성 완화
  • 채굴 외에도 블록체인 산업 전반 성장 수익 가능
  • ETF 수수료 저렴, 자동 리밸런싱 장점

⚠️ 단점

  • 비트코인 가격과 완전한 연동 아님
  • 일부 종목은 암호화폐 비중이 낮아 민감도 낮음

✅ 접근법: 국내 증권사 해외주식 또는 ETF 랩어카운트를 통해 접근 가능. 일부 증권사(삼성증권, KB증권 등)는 ETF 포트폴리오형 랩 상품으로 판매 중.


4. 연금계좌 및 ISA 활용한 비트코인 ETF 간접 투자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RP(개인형퇴직연금) 계좌는 세제 혜택과 장기 투자에 최적화된 구조로, ETF 기반의 비트코인 간접투자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2025년 현재, 키움·미래에셋·NH투자 등에서는 ISA 계좌를 통해 미국 ETF 직접 투자 가능하며, 이에 따라 IBIT, FBTC, ARKB 등의 비트코인 ETF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의 장점:

  • IRP 계좌 내 해외 ETF 편입 시 연간 최대 700만원 세액공제
  • 수익에 대해 인출 전까지 과세 이연, 복리 효과 기대
  • ISA 계좌 내 매도 차익에 대해 비과세 혹은 저율 과세 혜택

✅ 조건: 증권사마다 IRP 내 ETF 직접 편입 가능 여부가 다르며, 퇴직연금계좌 내 비트코인 ETF는 일부 증권사에서 제한적 허용 상태입니다. 반드시 상담 후 개설 권장.


5. 국내 상장 블록체인 테마 기업 (업비트 관련주 등)

마지막으로 국내 상장 종목 중 비트코인 및 블록체인 산업과 연계된 종목을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 업비트(두나무) 지분 보유 기업
  • 블록체인 보안·인증·지갑 기술 보유 기업
  • NFT, 메타버스, 게임코인 인프라 기업

주요 종목 예시:

종목명주요 연계 내용
카카오 두나무 지분 보유, Klaytn 생태계
우리기술투자 두나무 지분, 가상자산 투자 활발
한컴위드 DID, NFT 인증 기술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인증기술
비덴트 빗썸 지분 보유
갤럭시아머니트리 온·오프라인 결제코인 관련 사업

이들 종목은 비트코인 직접 노출도는 낮지만, 산업 확장 수혜 가능성이 있으며, 국내 코스닥 시장에서 실시간 매매 가능하다는 점에서 접근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 결론: 한국 투자자에게도 열린 비트코인 간접 투자 시대

2025년 현재, 한국에서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하는 것은 여전히 규제, 과세, 보관 측면에서 부담이 큽니다. 그러나 ETF, 채굴주, 테마펀드, 연금계좌, 관련주 등 다양한 간접 투자 수단을 통해
비트코인 가격 흐름에 안전하고 전략적으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

각 방식은 리스크·수익률·세금·접근성 등이 다르기 때문에,
👉 장기 투자자는 ETF + 연금계좌를,
👉 공격적 투자자는 채굴주나 블록체인 ETF를,
👉 소액/단기 참여자는 국내 관련주 중심의 전략을 취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