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준 비트코인 스테이킹 프로젝트 TOP 5

by ETC_98 2025. 3. 27.

비트코인 스테이킹과 관련된 이미지
비트코인 스테이킹과 관련된 이미지

 

비트코인은 전통적으로 작업 증명(PoW) 기반 블록체인이기 때문에 이더리움처럼 직접적인 스테이킹(지분 증명)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2025년 현재, 기술과 금융 인프라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간접 스테이킹 모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 프로젝트는 비트코인의 보안성과 탈중앙화를 유지하면서도, BTC 보유자에게 이자 수익, 네트워크 보안 보상, 유동성 제공 대가 등을 제공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가장 유망한 비트코인 스테이킹 프로젝트 TOP 5를 기술 구조, 수익 방식, 리스크, 전망 등의 측면에서 심층 분석합니다.


1. Stacks (STX) – PoX 기반 비트코인 보상 구조

기술 개요

Stacks는 비트코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플랫폼으로, 자체 합의 메커니즘인 **PoX(Proof of Transfer)**를 사용합니다. PoX는 STX 토큰을 일정 기간 락업하면, 그 대가로 비트코인을 직접 보상으로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 PoX 작동 방식:
    • 참여자는 STX를 일정 기간 스태킹
    • 채굴자는 BTC를 전송하고 블록 생성
    • 스태커는 BTC를 보상으로 받음

핵심 장점

  • 비트코인을 직접 보상으로 받는 유일한 탈중앙형 구조
  • STX를 통해 BTC 리워드 획득 가능 (예상 연 6~9%)
  • 스마트 계약 생태계와 연동 (DeFi, NFT)

활용 플랫폼

  • StackingDAO.com: 비수탁형 STX 스태킹 플랫폼
  • Xverse Wallet, Hiro Wallet: STX 스테이킹 지원 지갑
  • sBTC 연동: 비트코인을 DeFi에 직접 활용하는 인프라 확장 중

2025년 전망

Stacks는 sBTC를 통한 DeFi 확장과 함께 비트코인 스테이킹의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제도권 수요와 탈중앙화를 동시에 충족하는 유일한 구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Babylon – BTC 담보형 PoS 보안 제공

프로젝트 개요

Babylon은 Cosmos 생태계와 연계된 PoS 블록체인으로, BTC를 예치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보안에 기여하고 리워드를 받는 구조입니다. 이 방식은 PoS 검증인들이 BTC를 스테이킹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BTC를 ‘생산성 있는 자산’으로 전환시킵니다.

기술 구조

  • 비수탁형 BTC 예치: 자산은 온체인에서 잠금되며, 사용자가 키를 소유
  • 보안 제공 역할: BTC를 담보로 네트워크에 보안 신호 제공
  • 보상 방식: 예치된 BTC에 대해 PoS 기반 체인에서 보상 지급

장점 및 차별성

  • 비트코인을 직접 잠금 → PoS 블록체인의 보안성 강화
  • 예치 BTC는 이동 불가, 해킹 방지 → 매우 안전한 구조
  • 검증인으로 직접 참여할 수 있음 (기관형 투자자 중심)

2025년 동향

  • 메인넷 런칭 예정: 2025년 하반기
  • IBC 연동: Cosmos, Celestia 등과의 연결 진행
  • 비트코인 스테이킹의 ‘네이티브화’를 시도하는 독창적 모델

3. RSK + Sovryn – 비트코인 기반 DeFi 스테이킹

RSK 개요

RSK(Rootstock)는 비트코인에 병렬로 연결된 스마트 계약 플랫폼으로, Merge-mining(병합 채굴) 구조를 통해 비트코인의 보안성을 공유합니다. RSK 상에서는 RBTC라는 1:1 BTC 래핑 토큰이 사용됩니다.

Sovryn 활용

Sovryn은 RSK 기반의 대표 DeFi 플랫폼으로, RBTC를 예치하거나 대출 담보로 활용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 스테이킹 방식:
    • BTC → RBTC 변환 후 유동성 제공
    • 스테이블코인 대출, LP 풀 참여 등
    • 거버넌스 토큰 SOV 보상

수익 및 리스크

  • 연수익률: 유동성 풀 기준 약 5~15%
  • 리스크:
    • 가격 변동성
    • 스마트 계약 리스크
    • RBTC와 BTC 간 브릿지 리스크

2025년 동향

  • Sovryn은 RSK 생태계 내 DeFi 대표 프로젝트로 자리잡았으며,
    기관형 사용자와 라틴 아메리카 시장에서 채택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4. Liquid Network (L-BTC) – 프라이버시 중심의 예치형 스테이킹

개요

Liquid Network는 Blockstream이 개발한 비트코인 기반 사이드체인으로, 기관 투자자 및 금융 서비스 제공자에게 초점을 맞춘 설계입니다. BTC를 L-BTC로 래핑해 Liquid 체인에서 사용하며, 다양한 금융 상품에 예치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구조

  • BTC → L-BTC 변환: 1:1 페깅
  • 활용:
    • 유동성 제공 (SideSwap 등)
    • 채권 상품 예치
    • 거래소 간 빠른 자산 이동

장점

  •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내장 (Confidential Transactions)
  • 금융상품 중심 설계 → 스테이블 채권 등과 연계 가능
  • BTC 보유자 대상 이자 수익 모델 제공

2025년 동향

  • 기관 및 OTC 시장 확대
  • NFT 및 증권형 토큰(STO)과 연동 시도
  • 고액 자산가, 금융사 대상 BTC 운용 수단으로 부상

5. CeFi 플랫폼 (Nexo, Ledn 등) – 중앙화 비트코인 예치 서비스

개요

CeFi(Centralized Finance)는 중앙화된 플랫폼에 BTC를 예치하고 일정 수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대표적인 서비스 제공자는 Nexo, Ledn, Binance Earn, OKX Earn 등이 있으며, 비교적 진입 장벽이 낮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요 플랫폼 요약

플랫폼연수익률특징
Nexo 최대 6% BTC 또는 USDT 선택 가능, 보험 제공
Ledn 약 5% BTC 예치 및 USDC 대출 가능
Binance Earn 1~3% 다양한 기간 옵션, 유동성 유연함

장점

  •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 보험 및 담보 시스템 도입
  • 모바일앱·웹에서 간편 접근

리스크

  • 중앙화 리스크: 파산/운영 리스크 (FTX 사례 참조)
  • 신탁 리스크: 자산이 플랫폼 소유로 전환됨

비교 요약: TOP 5 프로젝트 한눈에 보기

항목StacksBabylonRSK+SovrynLiquidCeFi (Nexo 등)
구조 PoX, STX 스태킹 BTC 예치, PoS 보안 BTC→RBTC DeFi BTC→L-BTC 금융상품 BTC 직접 예치
수익 방식 BTC 보상 PoS 블록체인 보상 이자, 거버넌스 채권, 거래 수수료 고정 이자
연수익률 6~9% 4~8% 예상 5~15% 3~6% 2~6%
탈중앙화 매우 높음 높음 중간 중간 낮음
보안성 매우 높음 매우 높음 중간 중간 낮음~중간
진입 장벽 중간 다소 높음 중간 높음 매우 낮음
대표 플랫폼 StackingDAO Babylon Chain Sovryn SideSwap Nexo, Ledn 등

결론: 비트코인 스테이킹도 진화 중이다

비트코인은 PoW 기반 자산이지만, 2025년 현재 다양한 혁신적 구조를 통해 ‘스테이킹 가능한 자산’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Stacks는 가장 구조화된 탈중앙 BTC 리워드 모델
  • Babylon은 비트코인을 PoS 보안에 직접 활용하는 선구적 프로젝트
  • RSK+Sovryn은 실질적인 DeFi 활용 모델
  • Liquid는 프라이버시·금융 특화 플랫폼
  • CeFi는 가장 접근성 높은 대중형 상품

투자자 성향과 리스크 선호도에 따라 각기 다른 선택지가 가능하며,
앞으로도 비트코인 위에서 더 많은 실사용 기반 스테이킹 모델이 등장할 것입니다.
“단순 보관”을 넘어 비트코인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시대, 이제는 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