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주목받는 스토리 IP 프로젝트 기술 총정리

by ETC_98 2025. 3. 30.

스토리 프로젝트와 관련된 이미지
스토리 프로젝트와 관련된 이미지

 

2025년 콘텐츠 산업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스토리 IP(지식재산권)"**입니다.
웹툰, 웹소설, 캐릭터,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서사 기반 콘텐츠들이
NFT, DAO, 토큰 이코노미 등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되면서,
스토리 IP는 단순한 창작물이 아닌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중앙화 플랫폼 구조에서 벗어나, 창작자 중심, 이용자 참여형 생태계가 주목받으며
스토리 IP는 더 이상 특정 기업의 자산이 아닌 분산 소유와 공유 수익의 대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스토리 IP 프로젝트들의 기술적 구조, 생태계 구성, 산업 적용 현황을 총정리해봅니다.


1. 스토리 IP의 블록체인 전환: 왜 지금 이슈인가?

🧩 기존 IP 산업의 구조적 한계

  • 창작자가 플랫폼에 종속됨 (유통·수익 배분 구조)
  • 독자의 참여 기회는 댓글·구매뿐
  • IP 활용은 기업의 몫, 2차 창작은 제한
  • 수익은 극히 일부에게 집중되고 다수는 소외

이러한 구조는 플랫폼 중심, 공급자 중심 모델이며,
웹툰/웹소설이 아무리 성장해도 창작자와 독자 모두 소외될 수밖에 없는 구조였습니다.


🔗 블록체인이 열어준 가능성

  • IP 토큰화(NFT): 저작권 및 2차 창작 권한을 분산
  • 스토리 DAO: 팬 커뮤니티 기반의 IP 의사결정
  • 디지털 저작권 추적: IP가 어디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실시간 기록
  • 크라우드 창작: 수많은 참여자가 함께 세계관 설계, 설정 투표 등 참여

👉 이제는 IP가 창작자-팬-참여자 모두의 공동 자산이 되는 시대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2. 2025년 주목받는 주요 기술 및 구조

① IP NFT: 콘텐츠의 디지털 자산화

개념:
스토리 IP의 특정 에피소드, 캐릭터, 배경 설정 등을 NFT로 발행하여
그 자체로 소유권, 수익 분배권, 2차 창작 권한 등을 부여

활용 예시:

  • 웹툰 에피소드 1~5 → 소유자에겐 2차 영상 제작 허용
  • 특정 캐릭터 NFT → 굿즈 제작 수익 일부 배분
  • 설정집 NFT → 세계관 구축 참여 투표권 부여

기술 사례:

  • ERC-721/1155 기반 커스텀 NFT
  • IPFS·Arweave 등 영구저장소 연동
  • 스마트계약 기반 로열티 자동 분배

대표 프로젝트:

  • Story Protocol
  • [Storyverse (by AI Arena)]
  • [Literati DAO]
  • [DNAxCAT, KIDZ, Fracton World 등 GameFi+스토리 융합형]

② IP DAO: 팬과 커뮤니티 중심의 세계관 확장

개념:
스토리 IP의 전개, 설정, 시리즈 방향성 등을
DAO(탈중앙 자율조직)를 통해 커뮤니티가 결정

활용 방식:

  • 캐릭터 A의 미래는 어떤가? → 커뮤니티 투표
  • 시즌2 제작 여부 → 팬 DAO 펀딩 여부로 결정
  • 2차 창작 IP → DAO 승인 후 정식 시리즈 등록

기술 요소:

  • Snapshot 투표 시스템 / Discord 인증 기반 거버넌스
  • Token-weighted Voting (IP 보유량에 따라 의결권 차등)
  • 커뮤니티 펀딩 → 스마트 계약 자동 배분

대표 사례:

  • [StoryDAO]
  • [Juicebox 기반 크리에이터 DAO 시스템]
  • [Storia World] – 한국 스타트업 기반 스토리 DAO
  • [Fracton Protocol x IPX]

③ IP 수익화 구조: 로열티 자동 정산 및 공유경제 모델

핵심 구조:

항목기존 플랫폼블록체인 스토리 IP
수익 정산 월 단위 지급, 플랫폼 수수료 차감 실시간 로열티 자동 배분 (스마트 계약)
참여자 수익 창작자 중심 2차 창작자, 투자자, 팬 커뮤니티까지 공유
사용 추적 불가능 온체인 기록으로 100% 추적 가능

기술 구성:

  • 로열티 분배 스마트 계약
  • NFT 기반 사용권 추적
  • 오라클 연동 수익 집계

적용 사례:

  • IPFS+Royalty Contract 연동으로 유튜브 영상 수익 배분
  • 웹소설 NFT 보유자가 인쇄 수익 일부 수령
  • 콘텐츠 DAO 펀딩 투자자가 수익금 자동 지급

④ AI + 스토리 IP: 창작 툴의 혁신

  • GPT 기반 스토리 공동 창작 플랫폼
  • 미드저니, 스테이블디퓨전 기반 캐릭터 비주얼 설계 참여
  • AI로 쓰고 DAO로 투표 → NFT로 소유하는 창작 구조 등장

대표 사례:

  • Lore Machine (AI로 세계관 생성 + NFT 발행)
  • Scenario.gg (게임+스토리 캐릭터 생성 도구)
  • Story Protocol X AI 플랫폼 연동 중

3. 실제 프로젝트 사례 분석 (2025년 기준)

💡 Story Protocol (by a16z 지원)

  • 콘텐츠 저작권의 ‘버전 관리 시스템’ 지향
  • 코드형 저작권 → IP가 어떻게 발전하고 파생되는지 트래킹
  • IP 등록 → 파생 NFT 자동 생성 → 수익 배분

현재 등록 수: 8,000+ 개
파생 IP 추적 회수: 3만 회 이상


💡 Storyverse

  • 캐릭터 기반 인터랙티브 스토리 플랫폼
  • 누구나 NFT 캐릭터로 스토리북 제작
  • “스토리 창작의 유튜브” 지향
  • ETH + L2 기반

💡 Literati DAO

  • 고전 문학/공공 도메인 기반 세계관 확장 DAO
  • 예: 셰익스피어 등장인물 + 현대적 각색 → NFT 소설 연재
  • IP 권리는 DAO 보유 → 수익 분배

4. 산업별 확산 사례 및 전망

산업스토리 IP 블록체인 기술 도입 사례
웹툰 LINE Manga, 레진코믹스 일부 NFT 실험
웹소설 카카오페이지 x StoryChain (협력 논의 중)
게임 IPX (구 LINE FRIENDS) x Polygon 기반 Story NFT
방송/OTT K-Story DAO x 드라마 시나리오 DAO 파일럿
출판 퍼블리시 Protocol 기반 전자책 NFT화 실험

5. 2025년 하반기 스토리 IP 전망

📈 시장 규모

  • 스토리 NFT 시장 규모: 약 5억 달러
  • 전체 콘텐츠 IP 블록체인 등록 수: 15만 건 이상
  • DAO 기반 크리에이터 프로젝트 수: 2,000개+

🔮 향후 전망

구분전망
저작권 구조 창작→등록→NFT→DAO로 완전 탈중앙화 예상
AI 연동 스토리 생성 + 캐릭터 생성 → NFT 자동 발행
DAO 플랫폼화 Web2 플랫폼이 DAO 연동 시도 (예: 텀블벅, Patreon 등)
IP 금융화 NFT 기반 IP 담보 대출 / 유동화 상품 출시 가능성

✅ 결론: 스토리 IP는 ‘콘텐츠 금융’으로 진화 중이다

2025년, 콘텐츠는 더 이상 플랫폼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이제 스토리 IP는 팬이 직접 사고, 쓰고, 만들어가는 디지털 자산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 NFT로 수익 분배
  • DAO로 세계관 결정
  • AI로 함께 창작
  • 온체인으로 저작권 보존

이 흐름은 단순한 기술 트렌드가 아니라,
콘텐츠 산업의 소유구조 자체를 바꾸는 혁신입니다.

📌 투자자, 창작자, 기업 모두가 이 변화를 인지하고
**‘스토리 IP의 금융화 시대’**에 어떻게 참여할 것인지 전략을 짜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