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DEX 전쟁 속 제로엑스의 존재감

by ETC_98 2025. 3. 25.

제로엑스와 관련된 이미지
제로엑스와 관련된 이미지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가운데, 인프라 레이어에서 핵심 기술을 제공하는 제로엑스(0x) 프로토콜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유니스왑, 스시스왑, 1inch, 카이버, 오더북 기반 DEX 등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지만, DEX 간 유동성을 통합하고 효율적인 거래 환경을 만드는 기술 인프라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2025년 현재, 제로엑스는 API 기반의 유동성 통합 구조와 RFQ(Request for Quote) 기술을 무기로 DEX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제로엑스의 기술 구조, 경쟁력, 주요 파트너십, 그리고 DEX 시장 내 존재감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1. 제로엑스란 무엇인가: DEX 인프라의 조용한 강자

제로엑스는 2017년 이더리움 기반으로 개발된 탈중앙화 거래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기존 DEX 프로젝트와 달리, 제로엑스는 “거래소”가 아닌, 거래소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인프라 레이어로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가진다.

✅ 핵심 개념: 유동성 통합을 위한 표준화 프로토콜

제로엑스 는 다양한 DEX, 유동성 풀, 마켓메이커(MM), RFQ 시스템 등에서 발생하는 유동성을 한데 모아, **단일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최적의 거래 가격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자체적인 거래소를 운영하기보다는, 다른 디앱이나 지갑, 게임, NFT 마켓 등이 0x API를 사용해 토큰 거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도록 한다.

✅ 유연한 아키텍처

  • 스마트오더라우팅(SOR): 수많은 풀 중 최적의 경로로 주문을 자동 분할
  • RFQ 모델: 메이커/테이커 기반의 가격 제안 시스템으로 슬리피지를 줄이고 가격 예측 가능
  • 제로엑스  Mesh: 피어 투 피어 방식으로 주문을 배포하고 체결하는 탈중앙 거래 메시 네트워크

✅ 지원 네트워크

2025년 현재 기준, 제로엑스는 이더리움 메인넷을 포함해 Polygon, BNB Chain, Avalanche, Arbitrum, Optimism, Base, Celo, Fantom 등 10개 이상의 멀티체인을 지원하며, 크로스체인 유동성 라우팅을 점차 확장 중이다.

✅ 사용처

제로엑스 기술은 이미 다수의 프로젝트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Metamask Swap, Coinbase Wallet, Matcha, Zerion, Tokenlon 등이 제로엑스의 API 또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유동성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즉, 제로엑스는 단순한 DEX가 아닌 **“DEX를 위한 백엔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DEX 시장의 구조적 성장과 함께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2. 2025년 DEX 전쟁의 구조와 제로엑스의 기술 경쟁력

2025년 현재, 탈중앙화 거래소(DEX) 시장은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주요 트렌드

  • 오더북 vs AMM 모델의 하이브리드화
    유니스왑이 AMM에서 V3, V4로 업그레이드되며 유연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하고, dYdX, Vertex 등 오더북 기반 DEX도 선물·파생상품 시장을 공략 중이다.
  • 멀티체인 유동성 통합 수요 증가
    사용자들은 특정 체인이 아닌 다양한 체인에서 동시에 최적의 거래를 원하며, 이에 따라 ‘스마트 오더 라우팅’이 중요한 요소로 부상
  • UI/UX 최적화 경쟁
    메타마스크, 지갑 앱, 브라우저 확장 기반에서 자체적으로 스왑 기능을 통합하면서 백엔드 인프라의 중요성이 커짐

✅ 이 가운데 제로엑스의 경쟁력

  1. API 기반 통합 구조
  • 개발자가 쉽게 유동성 검색 및 거래 기능을 앱에 통합할 수 있도록 설계
  • REST API, GraphQL, SDK 등 다양한 툴킷 제공
  1. RFQ 프로토콜의 강점
  • 기존 AMM의 한계였던 슬리피지 문제 해결
  • 마켓메이커가 직접 가격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 확보 가능
  • Coinbase Wallet과 Metamask에서 실제 RFQ 모델이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1. 최적화된 스마트오더라우팅(SOR)
  • 단일 거래를 여러 풀에 분산시켜 최적화된 가격 제공
  • 1inch와 유사하지만, 더 가볍고 빠른 경로 계산을 제공한다는 평가
  1. 낮은 수수료 & 가스비 절감 전략
  • 자체 수수료를 최소화하고 유동성 제공자로부터 리베이트를 받는 구조
  • 체인별 트랜잭션 비용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 비용 부담 완화

제로엑스는 이처럼 ‘보이지 않는 인프라’로 작동하면서, DEX UX의 핵심 백엔드로 기능하고 있으며, 그 기술력은 유저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경험으로 전달되고 있다.


3. 생태계 확장성과 제로엑스의 향후 전망

2025년 이후 제로엑스의 전망은 다음과 같은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다:

✅ 1) 지갑 기반 거래소 연동 확대

Metamask, Coinbase Wallet 등 대형 지갑이 자체 스왑 기능에 제로엑스 API를 활용하면서, 지갑 ≒ 거래소 구조가 가속화되고 있다. 제로엑스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DEX 백엔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다.

✅ 2) 디앱, 게임, NFT 플랫폼의 자동 거래 기능

게임 내 자산 거래, NFT 스왑 등에서 별도 거래소 UI 없이 자동으로 토큰 교환 기능을 탑재하는 것이 트렌드다. 제로엑스는 이러한 니즈에 맞는 개발자 친화형 모듈을 제공하고 있다.

✅ 3) DAO 운영 전환 및 생태계 인센티브 확대

제로엑스는 2022년부터 ZRX 토큰 기반의 DAO 거버넌스를 강화해왔으며, 최근에는 프로토콜 수익 일부를 DAO 리워드로 전환하는 모델을 도입해 커뮤니티 참여도를 높이고 있다.

✅ 4) AI 트레이딩 및 DeFi 자동화 시스템 연계

2025년은 AI 자동화 트레이딩 봇이 유행하면서, API 거래 호출 기반의 DEX 인프라가 필수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제로엑스는 이 부문에서 가장 많은 연동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결론: 요약 및 Call to Action]
제로엑스는 2025년 DEX 전쟁의 중심에서 ‘보이지 않게 움직이는 핵심 기술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사용자는 제로엑스를 직접 인식하지 않더라도, Metamask, Coinbase, 디앱 등 다양한 곳에서 제로엑스의 기술을 통해 토큰을 스왑하고 유동성을 활용하고 있다.

유동성 통합, RFQ 기반 가격 책정, 스마트오더라우팅, API 친화성 등은 제로엑스가 오랜 시간 구축해온 기술 경쟁력이자 차별화 요소다. DEX 시장이 커질수록, 거래의 백엔드를 담당하는 제로엑스의 존재감도 커질 수밖에 없다. 단순 거래소가 아닌 인프라 레이어로서의 그 가치를 재조명할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