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 지난 수십 년간 놀라운 발전을 이뤄왔으며, 그 중심에는 Web2와 Web3라는 개념의 변화가 존재합니다. Web2는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웹 환경을 의미하며, 참여형 플랫폼으로 발전했습니다. 반면 Web3는 탈중앙화와 사용자 소유권을 핵심으로 하는 차세대 인터넷입니다.
이 글에서는 Web2와 Web3의 개념, 기술적 차이, 구조적 특징, 사용자 경험, 그리고 미래적 관점에서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합니다.
1. Web2와 Web3의 개념적 차이
항목 | Web2 | Web3 |
---|---|---|
정의 | 사용자 참여 중심의 중앙화된 인터넷 |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인터넷 |
중심 개념 | 콘텐츠 생성 & 플랫폼 소통 | 자산 소유 & 신뢰 없는 네트워크 |
기술 기반 | HTTP, 중앙 서버, 클라우드 | 블록체인, 스마트 계약, 탈중앙 스토리지 |
데이터 소유 | 기업이 보유 (예: Meta, Google) | 사용자가 직접 보유 (지갑 등) |
2. 구조적 차이
1) 중앙화 vs 탈중앙화
- Web2: 구글, 페이스북 등 중앙 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통제
- Web3: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분산 노드를 통해 데이터 저장 및 검증
2) 로그인 방식
- Web2: 이메일, 비밀번호 또는 소셜 계정 로그인
- Web3: MetaMask, WalletConnect 등 지갑 인증 방식
3) 플랫폼 수익 구조
- Web2: 광고 중심, 플랫폼이 수익의 대부분 보유
- Web3: 사용자가 토큰 등으로 직접 보상받음
3. 기술적 차이
기술 요소 | Web2 | Web3 |
---|---|---|
인증 방식 | OAuth, 세션 쿠키 | 디지털 서명, 지갑 인증 |
데이터 저장 | 중앙 서버, 클라우드 | 블록체인, IPFS, Filecoin |
프론트엔드 | React, Vue 등 | 동일 (Web3 SDK 연동 필요) |
백엔드 | Node.js, PHP 등 | 스마트 계약 (Solidity 등) |
결제 시스템 | 카드, PayPal | 암호화폐 (ETH, USDT 등) |
4. 사용자 경험 차이
항목 | Web2 | Web3 |
---|---|---|
접근성 | 간편한 가입 및 사용 | 지갑 설치 등 진입 장벽 존재 |
속도 | 빠르고 즉각적인 반응 | 트랜잭션 확인 등으로 상대적으로 느림 |
UI/UX | 고도화된 사용자 경험 | 개발 초기 단계로 개선 중 |
권한 구조 | 플랫폼 중심 | 사용자 중심 (DAO 거버넌스) |
5. 예시 비교
항목 | Web2 예시 | Web3 예시 |
---|---|---|
SNS | Facebook, Instagram | Lens Protocol, Farcaster |
결제 | PayPal, Stripe | MetaMask, DePay |
스토리지 | Google Drive | IPFS, Arweave |
인증 | Google 계정, Apple ID | Ethereum 지갑 주소 |
콘텐츠 | YouTube, Medium | Mirror.xyz, Audius |
6. Web3의 한계와 과제
- 진입 장벽: 지갑 설치, 가스비 이해 등 복잡성 존재
- 확장성 문제: Layer1 체인의 TPS 한계
- 규제 불확실성: 암호화폐 및 DAO에 대한 각국의 정책 미확정
결론
Web2는 인터넷의 대중화를 이끌었고, Web3는 그 소유권과 통제를 사용자에게 되돌리는 구조입니다.
앞으로의 인터넷은 Web2의 편의성과 Web3의 투명성을 결합한 Web2.5 시대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며,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패러다임은 점차 현실화될 것입니다.